도서

절망으로 포장된 지옥으로 가는 길 '로드' - 코맥 매카시 / 문학동네

더안 2023. 10. 11. 01:13
반응형

절망으로 포장된 지옥으로 가는 길 '로드' - 코맥 매카시 / 문학동네

더 로드

 

작가 코맥 매카시

잘 모를 수도 있겠지만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라는 소설이 원작인 작품이다. 그 원작 소설을 쓴 작가가 코맥 매카시. 그리고 지금 포스팅하는 책 '로드'의 작가이기도 하다. 코맥 매카시는 '피의 자오선'으로 타임지에서 뽑은 '100대 영문 소설'로 뽑히기도 했으며, '로드'는 퓰리처상을 받은 작품으로 2010년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또한 오프라 윈프리 북클럽 선정작이 되면서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종말 이후의 그들의 삶 

이 소설은 종말 이후의 세계를 다루는 책이다. 무슨 이유인지 언제인지 나오지는 않지만, 모든 문명 세계의 종말이 온 후의 세계를 그린다. 세상의 모든 것은 재로 뒤덮였고, 남은 것은 아들과 아버지 둘뿐이다. 소년의 어머니는 처음부터 등장하진 않지만 내용에 나오기는 소년의 어머니는 굶주림, 강간, 자신의 가족을 잡아먹는 일을 겪느니 자살했다고 나온다. 그리고 남은 아버지와 아들, 그들이 바다를 찾아 길을 떠나는 여정을 그린 것이 소설 내용의 전부이다.

 

반응형

해안을 향해 길을 따라가는 아버지와 아들

아버지는 아들과 함께 바다로 향하게 됩니다. 카트를 끌고 바다로 가는 길 중간에 둘은 일부 생존자들과 만나기도 하지만 이 부분이 매우 섬뜩하게 다가옵니다. 춥고 더럽고 힘든 것은 둘째치고 여기에 등장하는 사람들에게 공격을 받거나 공격을 해야 하는 입장에 많이 놓이게 됩니다. 그럴 때마다 소년은 아버지에게 마지막 남은 인간성 혹은 도덕성을 자각하게 하는 인물이 됩니다.

 

 

인간성을 잃어가는 사람들

길에서 마주친 사람들은 굶주림과 추위에 강아지는 물론 식인을 하기도 합니다. 이 소설의 스토리는 상당히 심플합니다. 그러나 책에 몰입하게 만드는 요소는 많습니다. 코맥 매카시가 아포칼립스 이후의 상황을 얼마나 리얼하게 묘사했는지 보는 동안 잠깐 빨려 들어가기도 했었습니다.

  • 아이가 기억하는 개는 우리를 이틀이나 따라왔다. 달래서 다가오게 하려 했지만 오려 하지 않았다. 나는 개를 잡기 위해 철사로 올가미를 만들었다. 그때는 권총에 총알이 세 개 있었다. 여분이 없었다. 그녀는 길을 따라 걸어갔다. 아이는 그녀의 눈을 쫓다가 나를 보더니 개를 보았다. 아이는 울기 시작했다. 개의 목숨을 살려달라고 했다. 나는 개를 해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마름모 격자들에 가죽을 씌워놓은 것 같았던 개. 다음 날 개는 사라졌다. 그것이 아이가 기억하는 개다. 아이는 다른 어린 소년들은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 있지도 않았던 세계나 오지도 않을 세계의 꿈을 꿔서 네가 다시 행복해진다면 그건 네가 포기했다는 뜻이야. 이해하겠니? 하지만 넌 포기할 수 없어. 내가 그렇게 놔두지 않을 거야.

  • 어쩌면 세상의 파괴에서 비로소 세상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볼 수 있는 것인지도 몰랐다. 바다, 산, 사물들이 존재를 멈추는 지루하고 보잘것없는 광경. 수종(水腫) 같은, 비정하게 세속적인 너른 광야. 그리고 정적.

 

반응형

 

소설의 이야기는 언급했던 것처럼 스토리라고 할 것이 없다. 아포칼립스 이후의 소년과 아버지가 바다를 향해 길을 따라가는 여정. 그 길의 모습을 상당히 읍습하고 비참하고 리얼하게 그렸다. 그래서 더욱 몰입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심지어 등장인물도 많지 않았던 소설이다. 그리고 불(이라고 하는)을 갖고 이동하는 모습과 계속 만나게 되는 다른 이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사람들을 경계하는 아빠의 모습, 사람들을 공격하고 싶어하지 않는 아들의 모습이 대조적으로 나오며 아마도 아들(불)은 인간이 마지막까지 지키고 싶었던 인간성이(?)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그리고 내가 느꼈던 또 하나의 이야기는 우리는 삶을 살아가는 게 아니라 죽음으로 가는 길이라고 본 것과도 같았다. 살아가는 것이 아닌 죽음으로 가는 길에 있는 우리의 모습. 그걸 나타낸 게 아닐까 하는 나만의 해석을 추가해 본다. 시간이 된다면 작가의 다른 책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도 읽어보고 싶어짐.

반응형